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밤사이 미국22

부자 아빠 로버트 기요사키 "FAKE"를 읽으며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의 새 책 페이크(FAKE)를 읽고 있는 중이다. 책에서 그는 우리가 끊임없이 찍어내고 있는 종이돈이 불러올 위기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다. 어찌보면 누구나 알고 있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문제와 붕괴위기에 관한 뻔한 이야기일 수 있지만 나는 그 중에서도 우리가 주의를 기울여 생각해볼 이슈들이 분명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베이붐세대들도 아마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고 현재 정부는 연금제도 개편안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최근 언론 기사들을 보면 연금개시 나이를 늦추고 더 많은 돈을 납부토록 한다는게 정책 방향으로 보인다. 과연 우리는 눈 앞에 닥친 백세시대 은퇴이후 삶의 위기에 어떤 준비를 해야할까? 또 이런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아볼수 있을까? 2022. 12. 18.
2023년 국내 주식 호가 단위 변경 2023년 1월부터 주식 호가 단위가 바뀐다고 한다. 현재 가격대별 호가 단위를 보다 촘촘하게(현재 5,50,500원 구간을 1,10,100 단위로) 바꾸고 코스닥과 코스피 호가 단위를 동일하게 변경하는 게 주요 변경 사항이다. 이 같은 변경으로 단타매매를 줄이고 거래비용을 줄여 주식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는 반면, 공매도를 더 조장하게 될 것이라는 반대 의견도 있다. 관련 기사 https://naver.me/FKxpTJ8U 단타꾼들은 호가단위 변경을 왜 반대할까 [주경야독] 내년 1월부터 주식매매 때 호가단위가 가격대별로 세분화된다. 주가가 10만원 이상~50만원 미만인 주식의 호가가격단위는 현행 500원이지만 개정 이후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구간에선 100원으로 n.news.. 2022. 11. 30.
미국 PTP(Publicly Traded Partnership) 종목 과세 미국이 내년부터(2023.1.1) 외국인을 대상으로 PTP 종목 매도 시 10프로 과세 예정이라고 한다. PTP는 원유, 가스, 금, 은 등 천연자원이나 부동산, 인프라 분야 파트너십 형태로 투자하는 상품으로 정확한 종목명은 증권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수 있다(아래 삼성증권에서 가져온 리스트를 참고) 이는 수익의 10프로가 아니라 수익이 나든 손절이든 매도 금액의 10프로, 즉 5천만원 매도면 500만원 과세를 하겠다는 것으로 각 증권사에서는 과세를 피하려면 연내 매도를 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과세 도입 배경으로는 잦은 매매를 하지 못하게 해서 장기투자를 유도하고 원자재 가격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말도 있고, 향후 신재생에너지에 투자를 더 장려하기 위한 것이라는 말도 있다. 어쨌거나 관련 종목을 가지고.. 2022. 11. 23.
테슬라 주주총회 지난 8월, 테슬라 주주총회에서 일론 머스크는 대본없는 프리젠테이션을 하면서 현장에 참석한 주주들과 활발한 소통을 주고받았는데 그 모습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그는 지속적으로 생산량을 늘여갈 것이며, 이를 위해 기가팩토리를 추가 증설할 것이라고 했다. (이 부분에서 자신도 반은 캐나다인이라면서 기가팩토리 증설 후보지가 캐나다가 될 수도 있겠다는 힌트를 주기도 함) 머스크는 테슬라가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여전히 수익을 내고 있고 앞으로도 자율주행 시스템, 슈퍼 차저 증설, 태양광 패널, 인공지능 등 기술 향상을 통해 향후 사업 전망 또한 더욱 밝을 것이라는 점을 언급했다. 특히, 테슬라는 자동차 제작 회사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회사이기도 하다고 점을 콕 집어 언급했다. 이 언급이 주목되는 것은 테슬라가 분명.. 2022. 9. 4.
7월 FOMC 회의 결과 7월 FOMC 회의 결과가 나왔다. 7월 연준회의에서 6월에 이어 0.75%포인트 올리는 것으로 결정했다. 회의 종료후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의장은 고용시장이 여전히 강하고 미국 경제는 침체로 진입하지 않았다고 하면서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춰야 할 시점이 언젠가는 올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에 시장은 크게 반등하면서 연준 회의 결과에 반응했다. 2022. 7. 28.
4월 미국 CPI 조금전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되었다. 발표된 4월 CPI는 8.3%인데 이는 3월 8.5%보다는 낮지만 시장이 예측했던 8.1%보다 높은 수치이다. 에너지 물가가 상당히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식품 등 주요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월 정점보다는 낮아졌고 상승속도가 소폭 둔화된 것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물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시장은 다음날 연준이 기준금리를 0.5%만 올리는 것에 만족할지 우려하는 분위기이다. 때문에 어제에 이어 상승중이던 미국 선물시장은 반전 하락하기 시작했다. 2022. 5.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