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친환경6

왜 파타고니아는 맥주를 팔까? 환경에 관심있는 분들에게는 '지구가 유일한 주주'라고 선언한 파타고니아는 꽤나 유명한 브랜드이다. 이 파타고니아 기업명을 책 제목에 등장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로울텐데 심지어 맥주를 파는 이유를 궁금하게 만드는 의문형 제목이다. 궁금하지 않나? 사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은 브랜드 전략에 관한 책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ESG가 대세가 된 시대에 기업이 살아남기 위한 브랜드 관리 원칙에 대해서 여러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더 높은 수준의 기업 윤리를 요구하는 세대의 등장과 사회경제 전반의 생태계가 변하고 있는 대변화의 시대에 우리가 주목해야할 브랜드 전략을 친절하게 알려준다. 꼭 기업을 하는 사람이 아닐지라도 내용은 충분히 흥미롭고 재미있다. 술술 읽히지만 결코 가볍지 않고 앞으로.. 2022. 12. 27.
이집트에서 개최된 COP27 살펴보기 지난 2022년 11월,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개최된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는 '샤름 엘 셰이크 이행계획'을 채택하고 폐막되었다. Sharm el-Sheikh Implementation Plan | UNFCCC https://unfccc.int/documents/624444 unfccc.int 이번 회의의 가장 큰 성과중 하나는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과 피해 대응을 위한 재원 마련 문제가 처음으로 정식의제로 채택되어 기후변화 취약국을 위한 기금 설립에 합의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지난 여름 대규모 홍수 피해를 입었던 파키스탄이 '손실과 피해' 의제 채택을 강력히 주장하였고 개도국에서 개최된 회의였던만큼 개도국들의 목소리가 더욱 힘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https://unf.. 2022. 12. 22.
개도국 에너지 전환을 돕기 위한 JETP의 제 3호 수혜국, 베트남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파트너쉽, The Just Energy Transition Partnership(JETP)이 베트남에 155억 달러를 지원한다고 한다. https://m.asiatoday.co.kr/kn/view.php?key=20221215010008000&t=1671601959 G7 포함 9개 선진국이 베트남에 155억 달러 지원하는 까닭은? G7(주요 7개국)과 노르웨이·덴마크가 베트남의 탈석탄 계획 지원을 위해 155억 달러(약 20조1670억원)를 제공하기로 했다. 1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전날 영국 외무부는 이들 9개국이 베트남이 2050 www.asiatoday.co.kr JETP는 개발도상국이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청정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선진국들이 도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2022. 12. 21.
섬나라 영국의 풍력에너지 현황 영국 요크셔 해안에 위치한 Hornsea 2는 세계에서 가장 큰 풍력 단지이다. 8메가와트 165개 터빈이 끝도없이 펼쳐진 이 곳에서는 최대 140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이 생산된다고 한다. Hornsea 2에는 해상풍력 분야 글로벌 기업 덴마크의 Orsted 회사가 참여했고 한국의 LS전선(케이블), 포스코(대단중강), 세아(하부구조물) 등이 공급사로 참여했다고 한다. 현재 영국 전력의 약 36%는 풍력에서, 그 중 대다수는 해상풍력 발전에서 공급되고 있다고 한다. 영국은 해상 풍력 발전을 하기에 지리적으로 이점을 갖고 있으며 해상 부유 풍력 발전을 점차 확대하는 중인데 2030년까지 영국 전력의 절반을 풍력 발전을 통해서 공급할 예정이라고 한다. 영국은 Orsted와 함께 Hornsea 3 건.. 2022. 12. 20.
친환경 비행기는 가능할 것인가? SAF(지속가능한 항공 연료) 비행기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에 수소연료나 전기배터리를 활용하기에는 아직까지는 대용량 배터리 개발 등 관련 기술 발전 속도가 느린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대안으로 나온 것이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 SAF(Sustainable Aviation Fuel)이다. 버려진 식용오일이나 동물지방 등 폐기물에서 만들어내는 바이오연료가 SAF이다. 기존 항공연료 대비 탄소배출을 80%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네덜란드 항공사 KML이 2010년 최초로 SAF를 사용했고, 미국 유나이티드 항공사가 2021년 12월 100% SAF 연료를 사용하여 여객기 운항에 성공함으로써 상업용 비행기에 SAF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바이.. 2022. 12. 14.
RE100과 CF100 기후변화 대응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이른바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캠페인, RE100이 지난 대선에서 화두가 된 적이 있다. RE100은 2014년 영국 런던 다국적 비영리기구 'The Climate' 그룹이 발족한 글로벌 캠페인인데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재생에너지로만 사용 전력을 충당하자는 것이다. ESG 경영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되면서 2022년 9월 우리나라 삼성전자도 RE100 가입을 선언하였고 현재 전세계 약 400여개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제조업 기반의 한국 산업계에는 RE100 달성이 그리 녹녹치 않은 것도 사실이다. 우선, 우리나라의 자연 환경이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을 적극 활용하기에 아직까지는 여러가지 제약이 따르는 것도 사실이고 재생에너지원으로만 전력을 생산할 수 없는 게 현실이기.. 2022.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