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후변화대응6

이집트에서 개최된 COP27 살펴보기 지난 2022년 11월,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개최된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는 '샤름 엘 셰이크 이행계획'을 채택하고 폐막되었다. Sharm el-Sheikh Implementation Plan | UNFCCC https://unfccc.int/documents/624444 unfccc.int 이번 회의의 가장 큰 성과중 하나는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과 피해 대응을 위한 재원 마련 문제가 처음으로 정식의제로 채택되어 기후변화 취약국을 위한 기금 설립에 합의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지난 여름 대규모 홍수 피해를 입었던 파키스탄이 '손실과 피해' 의제 채택을 강력히 주장하였고 개도국에서 개최된 회의였던만큼 개도국들의 목소리가 더욱 힘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https://unf.. 2022. 12. 22.
개도국 에너지 전환을 돕기 위한 JETP의 제 3호 수혜국, 베트남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파트너쉽, The Just Energy Transition Partnership(JETP)이 베트남에 155억 달러를 지원한다고 한다. https://m.asiatoday.co.kr/kn/view.php?key=20221215010008000&t=1671601959 G7 포함 9개 선진국이 베트남에 155억 달러 지원하는 까닭은? G7(주요 7개국)과 노르웨이·덴마크가 베트남의 탈석탄 계획 지원을 위해 155억 달러(약 20조1670억원)를 제공하기로 했다. 1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전날 영국 외무부는 이들 9개국이 베트남이 2050 www.asiatoday.co.kr JETP는 개발도상국이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청정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선진국들이 도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2022. 12. 21.
섬나라 영국의 풍력에너지 현황 영국 요크셔 해안에 위치한 Hornsea 2는 세계에서 가장 큰 풍력 단지이다. 8메가와트 165개 터빈이 끝도없이 펼쳐진 이 곳에서는 최대 140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이 생산된다고 한다. Hornsea 2에는 해상풍력 분야 글로벌 기업 덴마크의 Orsted 회사가 참여했고 한국의 LS전선(케이블), 포스코(대단중강), 세아(하부구조물) 등이 공급사로 참여했다고 한다. 현재 영국 전력의 약 36%는 풍력에서, 그 중 대다수는 해상풍력 발전에서 공급되고 있다고 한다. 영국은 해상 풍력 발전을 하기에 지리적으로 이점을 갖고 있으며 해상 부유 풍력 발전을 점차 확대하는 중인데 2030년까지 영국 전력의 절반을 풍력 발전을 통해서 공급할 예정이라고 한다. 영국은 Orsted와 함께 Hornsea 3 건.. 2022. 12. 20.
글로벌 메탄 서약(Global Methane Pledge)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직후 2021년 9월 주요경제국포럼(Major Economies Forum, MEF)을 개최하고 '글로벌 메탄 서약' 출범 계획을 밝혔다. 이후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에 참석하여 글로벌 메탄 서약 출범식을 개최하였다. 세계 정상들은 동 서약을 통해 2대 온실가스인 메탄을 감축하기 위해서 2030년까지 2020년 메탄 배출량 대비 30% 감축하고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씨 내로 억제하는데 기여하기로 합의했다. 미국과 EU이 주도한 동 서약에는 한국, 일본, 캐나다, 스위스, 멕시코 등 전 세계 130개 국가가 참여하고 있다. 다만, 메탄 발생 상위 1-3위 국가인 중국, 러시아, 인도는 참여하지 않고 있는 .. 2022. 11. 17.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1988년 세계 기상 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와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유엔환경계획)에 의해 설립되었고,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과학 기반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국제사회에 기후 행동을 촉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이회성 의장께서 IPCC의 수장을 맡고 있고 본부는 제네바에 위치하고 있다. IPCC가 발행한 특별보고서 중 특히 2018년 "Global Warming of 1.5°C (1.5°C 특별보고서)"가 많이 인용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2015년 파리협정에.. 2022. 11. 14.
책 '넷제로 에너지 전쟁' 추천 기후변화, ESG, 탄소중립, 넷제로, NDC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아니더라도 요즘은 이런 용어들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그만큼 우리 사회 전반에 환경 이슈가 널리 알려진 화두가 되기도 하였고, 우리의 경제사회 활동의 중심축이 환경 이슈로 점차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기록적인 홍수, 가뭄, 폭염 등 이상기후를 목도하면서 더 이상 기후변화 대응을 미룰 수 없다는 것에 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고 여기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이 에너지 수급과 공급망 문제가 심화되면서,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청정 에너지로의 에너지 대전환이 더욱 촉진되고 있다. 2050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한 에너지 대전환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 2022.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