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25

애플(APPL) 2분기 실적 발표 애플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 : 939억달러(예상치), 973억달러(실적) *전년대비 8.6% 상승 EPS : 1.42달러(예상치), 1.52달러(실적) *전년대비 9% 상승 ipone매출 : 491억달러(예상치), 505억달러(실적) 애플은 역대 1분기 매출액 중 최고치를 기록했고 마진은 무려 43%를 초과했다. 또한 이번에 자사주 900만달러를 매입할 예정이며 배당금을 5% 올린 0.23달러로 인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다음 분기 실적은 중국 봉쇄, 우크라이나 전쟁, 공급망이슈 등으로 다소 낮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주가는 좋은 실적발표에도 불구하고 장마감후 하락했다. 2022. 4. 29.
구글(GOOGL) 1분기 실적 발표 구글(알파벳)이 예상치에 다소 못미치는 실적 발표를 하면서 주가가 장중 4프로 이상 하락했다. 구글은 특히 유튜브 광고매출 부분에서 예상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는데 틱톡과 같은 경쟁기업들의 선전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유럽지역에서의 광고수입 감소, 달러 강세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졌다. 매출 : 560억 달러(시장 예상), 560억 달러(실적) *TAC(Traffic Acquisition Cost) 제외 EPS : 25.71달러(시장 예상), 24.62달러(실적) 구글의 광고 매출은 시장 예상치 541억달러를 초과 546억달러, 22%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는 과거에 비해 둔화된 편이다. 또한 유튜브 광고 매출은 14% 증가한 68억달러를 실적을 기록했는데 이는 시장 예측 7.. 2022. 4. 27.
마이크로소프트(MSFT) 실적 발표 마이크로소프트가 장 마감후 실적 발표를 했는데, 시장 예상보다 좋은 실적 발표로 시간외 시장에서 주가는 6% 정도 상승중이다. 특히, 인공지능 클라우드 매출이 전년대비 26%, Azure 사업은 46% 증가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측은 향후 전망도 좋을 것으로 발표했다. 매출 : 490억달러(예상치), 494억달러(실적) EPS : 2.19달러(예상치), 2.22달러(실적)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컴퓨터 매출이 증가했으며 러시아 사업은 전체의 1%를 차지하고 있어 전체 실적에는 크게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2022. 4. 27.
코카콜라(KO), 1분기 실적 코카콜라(KO)가 원자재, 임금인상,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 등 부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격 상승 효과와 리오프닝으로 인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 : 98억달러(시장 예상), 105억달러(실적) EPS : 0.58달러(시장 예상), 0.64달러(실적) 코카콜라는 현재 선물시장에서 소폭 상승중이다. 2022. 4. 25.
ASML, 1분기 실적 발표 ASML이 발표한 1분기 실적은 시장 예측치 매출 38억달러, 주당 순이익 1.94달러를 소폭 상회하는 매출 39억달러 주당 순이익 1.94달러였다. 지난 1월 베를린 공장 화재로 인해서 생산 감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소폭 상회했다. 전년 동기 대비 1분기 실적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ASML측은 올해 매출 20% 성장 전망을 유지할 것이며 올해 매출총이익이 50%를 넘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ASML 사장은 ASML 장비 구매를 원하는 고객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은 "제로"라고 언급하며 ASML의 매출에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ASML 실적 발표 결과와 함께 공급망 이슈, 반도체 수급 부족, 반도체 공장 증설, AI 개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반체 섹터를 잘 살펴봐야 할 .. 2022. 4. 21.
Tesla 1분기 실적 발표 테슬라가 시장 예상치보다 훨씬 좋은 1분기 실적발표를 했다. 주당 순이익은 예상치 2.26달러보다 높은 3.22달러를 기록했고, 매출도 예상치 177.6억달러를 크게 웃도는 187.5억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1% 상승한 수치이다. 또한 마진율은 30%를 달성했는데 이 역시 예상치 28.9%보다 높았다. (제조업에서 30% 마진이 나오는 것 또한 놀랍다) 테슬라는 4.2일까지 고객에게 인도한 차량 숫자가 31만대라고 밝혔는데 이는 작년 동기 대비 68% 증가한 수치이다. 다만 상하이 공장 폐쇄 여파, 원자재 가격 상승, 반도체 수급 문제 등으로 인해 향후 차량 생산대수 증가에는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이고 다음 분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수급 등 공급망 문제에도 불구하.. 2022. 4. 21.
반응형